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 한강의 『소년이 온다』

반응형
출처 네이버

 
 

한강의 『소년이 온다』 줄거리

『소년이 온다』는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당시의 비극적 사건과 그 여파로 인한 개인과 사회의 상처를 다룬 소설이다. 이야기는 주인공 '동호'라는 소년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동호는 친구 정대의 시신을 찾으러 시립도서관에 갔다가 진압군에게 붙잡히고, 끔찍한 폭력의 희생자가 된다. 소설은 동호와 주변 인물들(유가족, 생존자, 동호를 기억하는 이들)의 시선을 통해 사건의 비극적 진실을 다각도로 그리고 있다.

작품은 단순히 역사적 사건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광주의 아픔이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 미친 영향을 섬세하게 조명하며, 억압과 폭력의 시대 속에서 인간성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진다.

『소년이 온다』는 6개의 챕터와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챕터는 다른 화자의 시선을 통해 광주민주화운동의 비극과 그 여파를 담아낸다. 각 챕터는 서로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내며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1장: 소년이 온다
15세 소년 동호는 친구 정대의 시신을 찾으러 시립도서관에 간다. 도서관은 희생자들의 시신이 쌓여 있는 장소로, 동호는 끔찍한 광경을 목격한다. 이후 동호는 군인들에게 붙잡히고 잔인한 폭력을 당한다.

도서관에서 쌓여 있는 시신의 묘사는 비극적 현실을 여과 없이 전달하며 독자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어린 소년의 순수한 시선과 그가 맞닥뜨린 잔혹한 현실의 대비가 특히 가슴 아프게 다가왔다.

2장: 빛이 떠난 사람들
동호의 죽음 이후 그의 주변 사람들이 겪는 고통과 슬픔이 그려진다. 친구 정대의 누나 은숙과 동호의 어머니는 사랑하는 이를 잃은 상실감에 힘겨워한다.

은숙이 정대와 동호를 회상하며 느끼는 죄책감과 슬픔은 독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은숙이 동호를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이 현실적이고 처절하게 다가왔다.

3장: 그해 겨울
생존자들이 학살 이후 겪는 고통과 트라우마를 다룬다. 특히, 동호의 친구들이 당시의 기억과 자신들의 생존에 대한 죄책감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모습을 묘사한다.

"왜 나만 살아남았을까?"라는 질문은 생존자들이 안고 살아가는 영원한 딜레마를 보여준다. 그들의 고통은 단순한 개인적 상처를 넘어 사회적 비극의 일면으로 확장된다.


4장: 그해 여름
학살을 목격한 신부님과 그의 신념이 드러나는 장이다. 그는 진실을 기록하고 세상에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군부의 감시와 억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

신부님이 목숨을 걸고 진실을 지키려는 모습은 광주의 비극 속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5장: 잘못의 뿌리
학살에 가담했던 군인들의 시선에서 사건을 묘사한다. 명령에 의해 비인간적인 행위를 저지르는 군인들의 심리와 그들이 겪는 내적 갈등이 드러난다.
 
"우리는 인간이었나, 아니었나?"라는 군인의 독백은 가해자조차 인간성의 상실로 고통받고 있음을 암시하며, 폭력의 본질을 성찰하게 만든다.

6장: 목소리
시간이 흐른 뒤, 해외로 이민을 간 동호의 친구가 광주의 기억을 떠올리며 사건을 기록하려 한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기록하지 않으면 잊히고, 잊히면 또다시 반복된다"는 메시지가 강렬하게 다가온다. 광주의 기억을 지키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깨닫게 하는 장이다.


에필로그: 영원의 아이들
동호와 친구들이 죽음을 맞이한 이후에도 그들의 기억이 살아남아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있음을 암시한다.

"아이들은 떠났지만, 여전히 우리와 함께 있다"는 서술은 희생된 이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소년이 온다』는 각 장마다 다른 화자의 시선과 고통을 통해 비극을 다층적으로 그리며, 독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광주의 기억은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소설속에는 다양한 슬품의 유형이 있다.


1. 죽음과 상실의 슬픔
동호와 친구 정대의 죽음, 그리고 그를 잃은 가족들이 느끼는 상실감은 작품의 중심적인 슬픔이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고통은 형언할 수 없는 깊이로 묘사된다

2. 생존자들의 죄책감
학살에서 살아남은 이들은 자신이 살아남았다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며 평생을 고통 속에서 살아간다. 예를 들어, 동호의 친구나 주변 인물들은 자신이 더 용감하지 못했다는 자책과 고통을 반복한다

3. 진실 은폐와 억압의 슬픔
사건 이후 군부 정권이 진실을 은폐하고 억압하면서 피해자들과 가족들은 자신들의 슬픔조차 표현할 수 없는 현실에 절망한다.

4. 세대를 이어가는 트라우마의 슬픔
광주의 상처는 단지 당시의 희생자들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그 후손들과 공동체에까지 이어지는 지속적인 고통으로 묘사된다.

5. 공동체의 해체와 단절
광주라는 도시 전체가 학살과 폭력으로 인해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잃고, 주민들은 서로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이 작품은 단순히 과거의 아픔을 기록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인간성과 연대의 가치를 성찰하게 만든다.


반응형